◆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은?
To really understand the complex life cycle and social behavior of chimpanzees, you need time. Chimpanzees, like the other great apes (bonobos, gorillas, orangutans, and humans), ①mature very slowly ― infants continue to share their mother's nest, ride her back, and suckle (though less frequently) until about five years old when the next offspring is often born, and even then they remain emotionally connected to their mother, traveling with her for several years, ②strengthening family bonds that may persist throughout life. A female will not have her first infant until she is between 10 and 13 years old, and, like humans and other great apes, she has a long gestation period (about 8 months for chimpanzees). And there is an interval ③averaging five years between births. Chimpanzees can live to be over 50 years in the wild (and up to 70 years in captivity). As a result of this long life, and the fact ④which each individual has his or her own distinct personality, any worthwhile behavioral study of chimpanzees must be long term and must concentrate on individual life histories. Chimpanzees are highly social. They live in communities of several dozen animals, ⑤led by an alpha male and his coalition of male allies.
[해석]
침팬지의 복잡한 생활사와 사회적 행동을 실제로 이해하기 위해서, 여러분은 시간이 필요하다. 침팬지는 다른 대형 유인원(보노보, 고릴라, 오랑우탄, 그리고 인간)처럼 매우 천천히 성체가 되는데, 어린 새끼는 보통 다음 새끼가 태어나는 약 다섯 살까지 계속 어미의 보금자리를 함께 쓰고 등을 타고 다니며 (덜 빈번할지라도) 젖을 먹는데, 그런 다음에도 계속 어미와 정서적으로 결속되어, 몇 년 동안 어미와 함께 돌아다니고 평생에 걸쳐 지속될지도 모르는 가족 유대를 강화한다. 암컷은 10에서 13세가 될 때까지는 자기의 첫 새끼를 낳지 않으며, 인간 및 다른 대형 유인원처럼 임신 기간이 길다(침팬지의 경우 약 8개월). 그리고 출산 사이에 평균 5년의 간격이 있다. 침팬지는 야생에서 50살 넘게 (그리고 감금[우리에서의 사육] 상태에서는 70살까지) 살아 있을 수 있다. 이렇게 긴 수명 및 각 개체가 자기 자신의 독특한 개성을 갖고 있다는 사실의 결과로, 침팬지에 관한 어떤 가치 있는 행동 연구이든 장기적이어야 하며 개체의 생활사에 집중해야 한다. 침팬지는 사회성이 높다. 침팬지들은 우두머리 수컷과 그의 수컷 동맹 연합체가 이끄는 수십 마리의 동물 공동체 속에서 살아간다.
[해설]
④ As a result of this long life, and the fact [that each individual has his or her own distinct personality], any worthwhile behavioral study of chimpanzees must be long term and must concentrate on individual life histories.
[ ] 부분은 fact에 대한 부연설명을 해주는 동격절에 해당한다. 따라서 동격절을 이끌 수 있는 접속사 that이 올바르다.
①② Chimpanzees, like the other great apes (bonobos,gorillas, orangutans, and humans), mature very slowly—infants continue to share their mother’s nest, ride her back, and suckle (though less frequently) until about five years old when the next offspring is often born, and even then they remain emotionally connected to their mother, [traveling with her for several years], [strengthening family bonds {that may persist throughout life}].
첫 번째와 두 번째 [ ]는 주어 they의 부수적인 상황을 나타내는 분사구문이고, { }는 family bonds를 수식하는 관계절이다.
[어휘]
life cycle 생활사(생물이 개체 발육 초기 단계에서 성체를 거쳐 자연사
하기까지 연속되는 일련의 변화), 생활 주기
great ape 대형 유인원
mature 성체가 되다, 성숙하다
infant 어린 새끼, 유아
suckle 젖을 먹다
offspring (동식물의) 새끼, 자식
emotionally 정서적으로, 감정적으로
strengthen 강화하다
bond 유대
persist 지속되다, 끈질기게 계속하다
female 암컷, 여성
gestation 임신, 잉태
interval 간격, 차이
average 평균이 ~이다
captivity 감금 (상태)
◆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문맥상 낱말의 쓰임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Computers have changed a lot in the past 25 years. Computer networks were rudimentary in the 1990s. The explosive growth of the Internet and the proliferation of connected devices changed everything. It also gave us a much better ①contrast for how the human brain works. Networked, mobile computers can do much more than the desktop computer of the 1990s. This isn't just because they're better at storing and handling data. What's really important is their ability to ②share data, programs, and processing power. The connectedness of today's computers has helped scientists to realize that the computer inside the human skull also ③owes much of its power to its ability to be in a network ― to be part of an "us." We humans learn from others. We put our heads together and think things over. We share our feelings and feel each other's pain. Connectedness is ④vital for our mental health. Children who have been neglected and not allowed social contact don't just grow up ignorant of the world; their brain development is often delayed or impaired. Our ability and our need to be connected evolved because being connected made our ancestors successful. The stories of human evolution that we share and tell our children need to ⑤change to reflect this new understanding.
[해석]
지난 25년 동안 컴퓨터는 많이 바뀌었다. 컴퓨터 네트워크는 1990년대에는 충분히 발달하지 못했다. 인터넷의 폭발적 성장 및 연결기기의 확산은 모든 것을 바꾸었다. 그것은 또한 우리에게 인간의 두뇌가 작동하는 방식에 관한 훨씬 더 좋은 대조(→비유)를 제공했다. 네트워크로 연결된 모바일 컴퓨터는 1990년대의 탁상용 컴퓨터보다 훨씬 더 많은 것을 할 수 있다. 이것은 그것이 데이터를 더 잘 저장하고 다루기 때문만이 아니다. 정말로 중요한 것은 데이터, 프로그램, 그리고 처리 능력을 공유하는 그것의 역량이다. 오늘날 컴퓨터의 연결성은 인간 두개골 안의 컴퓨터도 자체 능력의 대부분이 네트워크에 속해 있는, 즉 하나의 '우리'의 일부인, 그것의 역량 덕택이라는 것을 과학자들이 깨닫는 데 도움이 되었다. 우리 인간은 다른 사람들에게 배운다. 우리는 머리를 함께 맞대고 일을 심사숙고한다. 우리는 우리의 감정을 공유하고 서로의 고통을 느낀다. 연결성은 우리의 정신건강에 필수적이다. (이제까지) 방치되고 사회적 접촉이 허락되지 않은 아이들은 단지 세상에 관해 무지한 채로 성장하는 것만이 아니라, 흔히 그들의 두뇌 발달이 지연되거나 손상된다. 연결할 수 있는 우리의 능력과 욕구가 진화했는 데, 왜냐하면 우리 조상들은 서로 연결이 되어 있어야 성공적인 삶을 살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우리가 공유하고 우리 아이들에게 말해 주는 인간 진화에 관한 이야기는 이 새로운 이해를 반영하기 위해 바뀌어야 할 필요가 있다.
[해설]
컴퓨터가 네트워크화되어 역량이 훨씬 좋아졌듯이, 인간의 두뇌도 사람들의 네트워크를 통해 제대로 발달하고 역량이 크게 강화되고 건강을 유지한다는 내용이다. 그러므로 둘 이상의 사람이나 사물을 비교했을 때 나타나는 뚜렷한 차이나 대조를 의미하는 ①contrast를 반대 개념인 metaphor와 같은 단어로 고쳐야 한다.
[어휘]
rudimentary 충분히 발달하지 못한
explosive 폭발적인, 폭발의
proliferation 확산
metaphor 비유
mobile computer 모바일 컴퓨터(무선 인터넷 기능 등을 갖춘 휴대형 컴퓨터)
processing power (자료) 처리 능력
skull 두개골
think over ~을 심사숙고하다
vital 필수적인, 지극히 중요한
neglect (돌보지 않고) 방치하다, 등한시하다
delay 지연하다, 미루다
impair 손상하다, 악화시키다
◆ 글의 흐름으로 보아, 주어진 문장이 들어가기에 가장 적절한 곳은?
Once you've seen several, you begin to realize that the meaning of dog is richer than you realized.
A virtue that a quest for meaning builds is thinking abstractly. ① People often think of abstraction as stripping away meaning, but in fact, abstraction does the opposite ― it enriches meaning. ② When you see that two things have similar structures or behavior, then those similarities create a connection, a new meaning for you that wasn't there before. ③ Henri Poincare famously said that "mathematics is the art of giving the same name to different things." to which a poet quipped: "Poetry is the art of giving different names to the same thing.") ④ If you've only ever seen one dog, you might think that a dog must be a German shepherd. ⑤ Abstraction enriches meaning by helping you to take a collection of examples and to see just what is essential about, for instance, "dogness." ⑥ In so doing, you see what's the same about many different things.
[해석]
의미 탐구가 만들어 내는 한 가지 장점은 '추상적으로 사고하기'이다. 사람들은 흔히 추상 작용을 의미를 벗겨 내는 것으로 생각한다. 그러나 사실 추상 작용은 정반대의 일을 하는데, 그것은 의미를 풍부하게 한다. 두 사물이 유사한 구조나 행동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아는 경우, 그때는 그 유사성이 여러분에게 전에는 거기에 존재하지 않았던 새로운 의미인 연관성을 만들어 낸다. Henri Poincare가 "수학은 서로 다른 것들에 같은 이름을 부여하는 예술이다."라고 말한 것은 잘 알려져 있다. (그 말에 한 시인이 "시는 같은 것에게 서로 다른 이름들을 부여하는 예술이다"라고 재치 있게 말했다') 여러분이 여태까지 개를 한 마리만 보았다면, 개란 독일산 셰퍼드인 것이 틀림없다고 생각할지도 모른다. 여러분이 여러 마리를 보고 나면, '개'의 의미가 여러분이 인식했던 것보다 더 풍부하다는 것을 인식하기 시작한다. 추상 작용은 여러분이 한 무리의 사례를 들어 가령 '개의 속성'에 관해 바로 본질적인 것을 아는 데 도움을 줌으로써 의미를 풍부하게 한다. 그렇게 할 때, 여러분은 여러 서로 다른 것들과 관련하여 같은 것을 알게 된다.
[해설]
수학의 장점으로서 추상 작용은 대상들 간의 유사점을 밝혀 연관성이라는 새로운 의미를 밝혀주어 의미를 더 풍부하게 한다는 내용이다. ⑤번 앞 문장에서는 ‘여러분이 여태까지 개를 한 마리만 보았다면~‘라고 언급하고 있으므로. ’여러분이 여러 마리를 보고 나면~‘의 내용으로 시작하는 주어진 문장이 이어지는 것이 가장 자연스럽다.
[어휘]
virtue 장점, 덕목
quest 탐구, 추구
abstractly 추상적으로
quip 재치 있게 말하다
abstraction 추상 작용, 추상, 추출
strip away ~을 벗겨 내다
opposite 정반대(의 일·것·사람)
collection 무리, 수집품
essential 본질적인, 필수적인, 극히 중요한
◆ 글의 흐름으로 보아, 주어진 문장이 들어가기에 가장 적절한 곳은?
Whatever the reason, we've all been there: the 'one-minute left' sign flashes, and you are barely halfway through your presentation.
When you give an oral presentation, a core-message-first approach provides you with a time advantage: starting with your core message increases the likelihood that your audience walks away with the message that you want them to walk away with, even when you are running out of time. ① Although you should not underestimate the importance of proper timekeeping, there may always be reasons why you find yourself short of time at the end of your presentation in spite of all your efforts to the contrary. ② Perhaps you are just generally predisposed to run out of time in everything you do, or perhaps you encountered some unexpected interruptions, ranging from faulty equipment to clarification questions. ③ You will have to cut parts of your presentation, speed up, and all of this goes at the expense of the core message that you had planned to deliver at the end. ④ You can save yourself a considerable amount of stress by starting, rather than ending, your presentation with your core message. ⑤ A good core message is not just invaluable to your audience – it also helps you, as a presenter, to structure your presentation and to ensure that you delivered your messages even under time constraints.
[해석]
여러분이 구두 발표를 할 때, 핵심 메시지 우선 접근법은 시간상의 이점을 준다. 핵심 메시지로 시작하면, 시간이 다 되어 갈 때도 청중은 여러분이 그들이 가지고 가기를 원하는 메시지를 가지고 갈 가능성이 커진다. 시간을 적절하게 지키는 것의 중요성을 과소평가해서는 안 되지만, 정반대로의[그러지 않으려는] 모든 노력에도 불구하고 발표 시간의 끝에 가면 시간이 부족하다는 것을 알게 되는 이유는 늘 있을 수도 있다. 어쩌면 여러분은, 단지 일반적으로 자신이 하는 모든 일에서 시간을 다 써 버리는 성향이 있거나 혹은 어쩌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장비부터 분명한 설명을 요구하는 질문에 이르는 예기치 않은 몇 가지 방해에 직면했을 수도 있다. 이유가 무엇이든 우리는 모두 그런 상황에 처한 적이 있는데, 가령 '잔여 시간 1분'이라는 신호가 번쩍이는데, 여러분은 겨우 발표의 중간쯤에 있다. 발표의 일부를 잘라내고 속도를 높여야 할 것인데, 이 모든 것은 여러분이 마지막에 전하고자 계획했던 핵심 메시지를 희생시키면서 진행된다. 여러분은 핵심 메시지로 발표를 끝내기보다는 시작함으로써 상당한 양의 스트레스를 자신에게서 덜 수 있다. 좋은 핵심 메시지는 청중에게 매우 중요할 뿐만 아니라 여러분이 한 명의 발표자로서 프레젠테이션을 구성하고 시간 제약이 있는 경우에도 메시지를 전달하는 데 도움을 준다.
[해설]
구두 발표를 핵심 메시지로 시작하면 시간이 문제가 될 때도 청중에게 메시지가 전달될 가능성이 커진다는 내용이다. 주어진 문장에 나온 ‘그 이유(the reason)’은 ③번 앞 문장에서 설명하는 내용을 가리킨다.
[어휘]
core 핵심적인; (사물의) 중심부
「provide A with B」 A에게 B를 주다[제공하다]
likelihood 가능성
predisposed to do: ~하는 성향이 있는
run out of ~이 다 되다, ~을 다 써버리다
underestimate 과소평가하다
the contrary 정반대, 반대
interruption 방해, 중단
range from ~ to ... (범위가) ~부터 …에 이르다[걸치다]
faulty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결함이 있는
equipment 장비
clarification (명확한) 설명
flash 번쩍이다, (불빛으로) 신호가 나타나다
barely 겨우, 간신히, 가까스로
at the expense of ~을 희생시켜, ~의 대가로
deliver (메시지를) 전하다, (편지 등을) 배달하다
◆ 다음 글의 주제로 가장 적절한 것은?
Nothing lasts forever, as the saying goes. There are waggish types who move from that thought to the conclusion that sustainability is a logical impossibility. Yet who said that a practice or process has to continue throughout eternity in order to be considered sustainable? There are many ways to measure how long or to what extent a practice can endure, given its background conditions. There is no reason to think that it is not sustainable just because there is some dramatic change in those conditions. This is the "What would happen if the earth was hit by a comet?" thought experiment. Current thinking is that a mass extinction event occurred when some large celestial object struck our planet about sixty-five million years ago. The climatic disruption led to the extinction of an estimated 50 percent of the species in existence at that time. It is not clear what someone might mean by saying that these extinct species had an unsustainable life process because they did not survive a meteor impact.
① people who insure their house against comet strikes
② a senseless presumption of an extreme event
③ a meaningful theory in the face of uncontrollable forces
④ an exercise of our imagination in saving us from disasters
⑤ an exaggeration to derive an otherwise unobtainable point
[해석]
속담에서 말하듯이, 어떤 것도 영원히 지속되지는 않는다. 그 생각으로부터 지속 가능성이 논리적으로 불가능한 것이라는 결론에 이르는 익살스러운 사람들이 있다. 하지만 하나의 관행이나 과정이 지속 가능하다고 간주되기 위해서는 영원토록 계속되어야 한다고 누가 말했는가? 하나의 관행이 그것의 배경 여건을 고려할 때 얼마나 오래, 또는 어느 정도까지 지속될 수 있는지 측정하는 여러 방법이 있다. 그 여건에 어떤 극적인 변화가 있다는 이유만으로 그것이 지속 가능하지 않다고 생각할 아무런 이유가 없다. 이것은 "지구에 혜성이 충돌하면 무슨 일이 일어날까?"라는 사고 실험이다. 현재의 생각은 약 육천오백만 년 전에 어떤 커다란 천체가 우리의 행성을 가격했을 때 대량 멸종 사건이 발생했다는 것이다. 기후 혼란은 그때 존재하던 종들 중 어림잡아 50퍼센트 종들의 소멸을 초래했다. 어떤 사람이 이 소멸한 종들이 유성의 충격에서 살아남지 못했기 때문에 지속 가능한 삶을 살지 않았다고 말함으로써, 무엇을 의미할 수 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해설]
관행이나 과정의 지속 가능성을 논할 때, 어떤 것도 영원히 지속되지는 않는다는 것을 근거로 지속 가능성이 논리적으로 불가능하다고 주장해서는 안 되며, 약 육천오백만 년 전에 지구에 유성이 충돌해서 대량 멸종이 발생했는데, 그때 소멸한 종이 지속 가능한 삶을 살지 않았다고 말하는 것에는 포인트가 분명하지 않다는 내용이다. 그러므로 글의 주제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② ‘극단적 사건에 대한 무의미한 상정’이 가장 적절하다.
[어휘]
as the saying goes 속담에서 말하듯이, 격언에 있는 바와 같이
waggish 익살스러운
type (특정한 특징을 지닌) 사람, 종류, 유형
sustainability 지속 가능성
eternity 영원
endure 지속되다, 견디다, 참다
given ~을 고려할 때
comet 혜성
celestial object 천체
extinction 멸종, 소멸
planet 행성, 지구
disruption 혼란, 붕괴
estimate 어림잡다, 추산하다, 추정하다
meteor 유성, 별똥별
impact 충격, 영향
◆ 글의 흐름으로 보아, 주어진 문장이 들어가기에 가장 적절한 곳은?
Even though digital storage costs are relatively minimal compared with other methods of distribution, allowing retailers to store titles that are purchased only a few times a month, Anderson's argument generally understates the production costs required to make a feature-length film or ongoing televised or web series.
Digital distribution raises new questions about how, when, and where we access movies and what this model means for entertainment culture. ① Digital media seem to promise that media texts circulate faster, more cheaply, and more broadly than ever before, leading to utopian accounts that imagine the potential for television shows or movies to be available anywhere. ② This is the promise articulated by digital utopians such as Chris Anderson, who argued in The Long Tail that media aggregators would thrive on selling niche content rather than focusing solely on blockbuster hits. ③ And although a number of niche films have found an audience online, the persistent availability of movies through different VOD (video on demand) services has altered their value, often with the result that consumers have felt less urgency to own copies of individual films, taking away one of the primary sources of income for moviemakers, a situation that has been especially damaging to independent producers. ④ Anderson's discussion of the “long tail” is an example of what Vincent Mosco would describe as part of the “digital sublime,” the idea that the internet would level all boundaries that limit access and participation, thereby democratizing culture. ⑤ In Anderson's argument, longtail retailers offer what appears to be unlimited access, as well as the idea of unlimited mobility.
[해석]
디지털 유통은 우리가 영화에 접근하는 방법, 시기, 장소, 그리고 이 모델이 엔터테인먼트 문화에 의미하는 바에 대해 새로운 질문을 제기한다. 디지털 미디어는 미디어 텍스트가 그 어느 때보다도 더 빨리, 더 싸게, 그리고 더 광범위하게 유통된다고 약속하는 것처럼 보이고 이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이나 영화를 어디에서나 이용할 수 있게 될 가능성을 상상하는 이상적인 이야기로 이어진다. 이것은 Chris Anderson 같은 디지털 이상주의자들이 분명히 표명했던 약속인데, 그는 The Long Tail에서 미디어 제공 웹사이트가 오로지 블록버스터급 히트작에만 집중하는 것보다는 틈새 콘텐츠 판매를 토대로 번창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비록 다른 유통 방법에 비해 디지털 저장 비용이 상대적으로 아주 적어서 소매업자들이 한 달에 겨우 몇 번밖에 구매되지 않는 출판물을 저장할 수 있게 해 주기는 하지만, Anderson의 주장은 장편 영화나 진행 중인 TV 방영 시리즈물이나 웹 시리즈물을 만드는 데 필요한 제작 비용을 대체로 (실제보다) 축소하여 말한다. 그리고 비록 많은 틈새 영화들이 온라인에서 시청자를 찾았지만 여러 VOD (주문형 비디오) 서비스를 통한 영화의 지속적인 이용 가능성은 그것의 가치를 바꾸어 놓았고, 흔히 소비자들이 개별 영화의 사본을 소유하는 것을 덜 시급하게 느끼는 결과를 가져와서, 영화제작자들의 주요 수입원 증 하나를 빼앗았는데, 이런 상황은 특히 독립 제작자들에게 손해를 끼쳐 왔다. “롱테일"에 대한 Anderson의 논의는 Vincent Mosco가 "디지털의 숭고함"의 일부로 기술한 것의 한 예인데, 이는 인터넷이 접근과 참여를 제한하는 모든 경계를 무너뜨려 문화를 민주화할 것이라는 개념이다. Anderson의 주장에 따르면 롱테일 소매업체는 무제한의 이동성 개념 뿐만 아니라 무제한의 접근을 제공한다.
[해설]
디지털 미디어는 어디에서나 쉽게 콘텐츠가 이용될 수 있다는 특징과 가능성을 갖고 있다는 내용의 글이다. 주어진 문장에 나온 ‘앤더슨의 주장(Anderson's argument)‘은 ③ 앞 문장에서 언급된 Chris Anderson가 The Long Tail에서 주장한 내용이다.
[어휘]
distribution 유통
circulate 유통되다
account 이야기, 설명
potential 가능성, 잠재력
available 이용할 수 있는
articulate 분명히 표명하다
aggregator: (여러 회사의 상품을 모아 한꺼번에) 제공하는 웹사이트[업체]
thrive 번창하다
niche: (시장의) 틈새(수익 가능성이 높은 특정 시장 분야)
solely 오로지
relatively 상대적으로
minimal 아주 적은
retailer 소매업자
title 출판물
understate (실제보다) 축소하여 말하다
feature-length 장편의
ongoing 진행 중인
televised TV에 방영되는
VOD(video on demand, 주문형 비디오) service: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을 원하는 시간에 제공해 주는 맞춤 영상 정보 서비스를 말한다.
alter 바꾸다
urgency 시급성, 긴급성
copy 사본
take away ~을 빼앗다
primary 주요한
income 수입
damaging 손해를 끼치는
long tail: 온라상으로의 제품구매가 가능해 진 것으로 인해 기업들이 '동일 제품의 대량 판매' 대신에 '여러 종류 제품의 소량 판매'를 통해 이익을 남긴다는 경제 개념이다.
sublime (감탄할 만큼) 절묘한; 숭고한, 지고한
level (건물·나무를) 완전히 무너뜨리다
democratize 민주화하다
◆ 주어진 글 다음에 이어질 글의 순서로 가장 적절한 것은?
The underlying imagery of "burnout" has an immediacy and accessibility which captures an increasingly common experience ― something has gone wrong in people's relationship to their work.
(A) The initial flame has burned out. The experience hurts both personal and social functioning on the job, and thus carries some real costs for the individual worker, for the people affected by him or her, and for the organization as a whole. Although some people may quit the job as a result of burnout, others will stay but will only do the bare minimum rather than their very best.
(B) What emerges from this narrative is the centrality of people's motivation to achieve. They bring dedication, effort, and commitment to their work, and want to do well and to take pride in their accomplishments. The erosion of those noble qualities is what is represented by burnout.
(C) The basic narrative goes like this: People entered a job with positive expectations, enthusiasm, and the goal to be successful. Over time, things changed ― and now people have a deep sense of exhaustion; feelings of frustration, anger, and cynicism; and a sense of ineffectiveness and failure.
[해석]
'번아웃'의 근본적인 이미지는, 사람들이 자신의 일과의 관계에서 무언가가 잘못되었다는 점점 더 흔해지는 경험을 포착하는 직접성과 이해하기 쉬운 특성을 가지고 있다.
(C) 기본적인 이야기는 다음과 같다. 사람들은 긍정적인 기대, 열정, 그리고 성공하고자 하는 목표를 가지고 직장에 들어갔다. 시간이 흐르면서, 상황이 바뀌었고, 이제 사람들은 깊은 피로감, 좌절과 분노와 냉소의 감정, 그리고 무력감과 패배감을 갖게 된다.
(A) 초기의 열정이 식어버린 것이다. 그 경험은 직장에서의 개인적 그리고 사회적 기능을 모두 손상시키고, 따라서 개별 근로자들, 그 사람에 의해 영향을 받는 사람들, 그리고 조직 전체에 상당한 실질적 손실을 수반한다. 비록 몇몇 사람들은 번아웃의 결과로 일을 그만둘 수도 있지만, 다른 사람들은 남아 있긴 하겠지만 자신의 최선을 다하기보다는 최소한의 것만 할 것이다.
(B) 이 이야기를 통해 분명해지는 것은 사람들의 성취하고자 하는 동기의 중심적 역할이다. 그들은 자신의 일에 헌신, 노력 및 책임을 다하고, 잘 해내어 자신의 성과에 자부심을 갖기를 원한다. 그러한 고귀한 속성의 쇠퇴가 바로 번아웃이 의미하는 것이다.
[해설]
번아웃은 초반에 일을 시작할 때 사람들이 일에 대해 갖는 기대, 열정, 목표 의식이 변하는 것과 관련된다는 요지의 글이다. (A)에서 말하는 초기의 열정에 관한 내용은 (C)에서 언급하고 있으며, (B)에서는 한 직장인의 이야기를 마무리하고 있다.
[어휘]
underlying 근본적인, 기본적인
immediacy 직접성
accessibility 이해하기 쉬움, 가까이하기 쉬움
go wrong ~이 잘못되다
narrative 이야기, 설명, 기술
enthusiasm 열정
sense 감각
exhaustion 피로
cynicism 냉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