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문맥상 낱말의 쓰임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The ability to associate sound with meaning arose so early in evolution that it is now ①innate. Words and speech arose later and need to be learned. We have more or less universal tones for surprise, for instance, anger and humour. These are the same in most cultures, although the words are different. Hence we have a universal music but ②different languages. All forms of recording and communicating have been affected in some way by computerisation — most people would say for the better — but in some circumstances compromises have been necessary. These require ③balancing flexibility and personal expression on one side with general accessibility and convenience on the other. The standardisation and codification that has come about through the increasing mechanisation of music setting, ④culminating in computer setting, might be compared with the standardisation of spelling, for instance, that came about in England with the invention of printing. Just as then, standardisation has obvious advantages but can mean the ⑤gain of local nuances and subtleties. Computer setting might finally erase some of the expressiveness that could be discerned in a hand-written manuscript, and that had managed to survive, to a certain extent, the skilled hand setting of music.
[해석]
소리를 의미와 연관시키는 능력은 진화 과정에서 아주 초기에 생겨났기 때문에 현재 인간들은 이러한 능력은 타고났다. 단어들과 말은 나중에 생겨났고 학습할 필요가 있다. 우리는 놀람과 분노 그리고 유머에 대한 다소 보편적인 어조를 가지고 있다. 단어는 다르지만 대부분의 문화권에서 이것들의 어조는 동일하다. 그러므로 우리는 보편적인 음악을 가지고 있지만 서로 다른 언어들을 가지고 있다. 모든 형태의 기록과 의사소통은 더 좋은 쪽이라고 사람들이 말할 일종의 방식으로 전산화에 의해 영향을 받아 왔지만, 어떤 정황에서는 타협이 필요했다. 이것은 한편에서 유연함 및 개인적인 표현을 다른 한편에서 일반적인 접근성 및 편리함과 균형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점점 증가하는 음악 환경의 기계화를 통해 발생해 온 표준화와 체계화는, 컴퓨터 환경에서 최고조에 달했으며, 예를 들자면, 인쇄술의 발명으로 영국에서 발생했던 철자의 표준화에 비교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 당시와 꼭 마찬가지로, 표준화에는 명백한 이점이 있지만, 특정의 미묘한 차이와 중요한 세부 요소들의 증대(→손실)을 의미할 수 있다. 컴퓨터 환경은, 손으로 쓴 원고에서 식별될 수 있었고 어느 정도는 숙련된 손으로 한 음악 환경을 그럭저럭 견디어 내었던 표현력의 일부를 결국 지워 버릴 수도 있을 것이다
[해설]
음악의 표준화와 체계화는 명백한 이점을 갖고 있지만, 한편으로 표현력의 상실을 야기할 수도 있으니 유연한 타협이 필요해 진다는 내용의 글이다. 따라서 ⑤gain을 loss로 고치는 것이 글의 요지와 충돌하지 않는 깔끔한 흐름으로 이어진다.
[어휘]
associate 연상하다, 결부[연관]짓다
evolution 진화, 발전
innate 타고난, 선천적인
universal 일반적인, 전 세계적인, 보편적인
computerisation 전산화
circumstance 정황
compromise 타협, 절충
accessibility 접근성, 접근하기 쉬움
standardisation 표준화
codification 체계화, 집대성
mechanisation 기계화
codify 체계화하다, 집대성하다
culminate 최고조에 달하다
sequence (선율·화성·전조(轉調) 등의) 반복 진행, 연속
obvious 명백한
local 특정의, 그 자리[경우]에서의
nuance (의미·소리·색상·감정상의) 미묘한 차이, 뉘앙스
subtlety 중요한 세부 요소[사항]
expressiveness 표현력
discern 식별하다, 분별하다
◆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문맥상 낱말의 쓰임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In the 1998 Nagano Olympics, world records in speed skating were continually ①broken by athletes using clap skates. The blade on a clap skate is hinged at the front of the shoe but not at the heel. The hinge allows the blade to stay in contact with the ice longer so that the skater is able to thrust at the ice for a ②shorter time. The characteristic clapping noise occurs at the end of each stroke when the blade “claps” back into contact with the ③heel of the shoe. The clap skate requires a new technique in which the skater must push more directly backward and from the toe ④rather than out to the side and from the heel. Athletes who were accustomed to the older skates (with the blade permanently joined to the boot at heel and toe) had to ⑤adapt to the new equipment and change their technique.
[해석]
1998년 나가노 올림픽 경기에서, 클랩스케이트를 사용하는 선수들에 의해 스피드스케이팅의 세계 기록이 계속해서 깨졌다. 클랩스 케이트의 날은 신발의 앞쪽에 경첩을 써서 붙였지만, 뒷굽은 그렇지 않다. 경첩은 날이 얼음과 더 오랫동안 접촉할 수 있게 함으로써 스케이트 선수가 더 짧은(→오랜) 시간 얼음을 밀 수 있다. 특징적인 탁 소리는 발로 차는 동작이 끝날 때마다 날이 ‘탁하며’ 신발의 뒷굽에 다시 닿을 때 발생한다. 클랩스케이트는 스케이트 선수가 옆쪽 밖으로 그리고 뒷굽으로부터가 아니라 바로 뒤로 그리고 엄지발가락으로 더 많이 밀어야 하는 새로운 기술을 필요로 한다. (날이 부츠의 뒷굽과 엄지발가락 부분에 영구적으로 붙어 있는) 더 예전의 스케이트에 익숙한 선수들은 새로운 장비에 적응해 자신들의 기술을 바꾸어야 했다.
[해설]
올림픽 경기에서의 클랩스케이트의 도입과 그 구조에 관해 다룬 글이다. 스케이트 날이 얼음과 더 오랫동안 접촉할 수 있게 되면 스케이트 선수가 더 오랜 시간 얼음을 밀 수 있다는 물리학적 지식을 갖춘 수험생들이라면 정답을 고를 수 있는 문제이다. 따라서 ②shorter를 longer로 고쳐야 한다.
[어휘]
continually 계속해서
clap skate 클랩스케이트(신발의 뒷굽과 날이 분리되어 있는 구조의 스케이트)
blade (스케이트의) 날
hinge 경첩을 달다; 경첩
thrust 밀다
permanently 영구적으로, 변함없이
◆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The fact that deep learning computers merely carry out programmatic functions without understanding what they are doing or any implications has created problems in the past. In particular, many analysts have described a problem of algorithmic bias. The data sets that neural networks train on are representations of the world as it is rather than the world that we might like to see. Because of this, a deep learning algorithm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A human, on the other hand, might exercise judgment and question the patterns that he or she was seeing. For example, a deep learning network might see that most of the pictures labeled as “secretary” in an online archive are female, whereas most pictures of a “boss” are male, and conclude that men are always bosses and women are always secretaries.
① often fails to provide a depth and breadth of knowledge and understanding
② allows computer programs to recognize patterns and solve common problems in the fields of AI
③ involves taking large volumes of unstructured or structured data and using complex algorithms
④ is characterized in the process of increasing complexity and abstraction
⑤ may reproduce the worst stereotypes and biases of our society as a whole
[해석]
딥 러닝 컴퓨터가 자신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 혹은 그 어떤 결과도 이해하지 못하고 프로그램에 따른 기능을 수행할 뿐이라는 사실은 지금까지 문제를 일으켜 왔다. 특히, 많은 분석가들은 알고리즘 편향의 문제를 설명해 왔다. 신경 회로망이 토대로 삼아 훈련하는 데이터 세트는 우리가 보고 싶어 할지도 모르는 세계라기보다는 있는 그대로의 세계에 대한 표현이다. 이 때문에 딥 러닝 알고리즘은 우리 사회 전체의 최악의 고정 관념과 편향을 재현할 수 있다. 반면에 인간은 판단력을 발휘하여 자신이 보고 있었던 패턴에 의문을 제기할지도 모른다. 예를 들어, 딥 러닝 회로망은 온라인 수집 자료에서 ‘비서’라고 분류된 대부분의 사진은 여성이지만, ‘상사’의 대부분의 사진은 남성이라는 것을 알아채고, 남성은 항상 상사이고 여성은 항상 비서라는 결론을 내릴지도 모른다.
[해설]
딥 러닝 컴퓨터는 프로그램에 따른 기능만 수행하기 때문에 알고리즘 편향의 문제가 있어서 우리 사회에 존재하는 고정 관념과 편향을 그대로 재현할 수 있다는 내용의 글이다. 따라서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⑤번이 된다.
[어휘]
deep learning 심층 기계 학습: 기계 학습의 한 분야로 스스로 수많은 데이터를 분류하여 패턴을 발견하는 학습을 통해 미래의 상황을 예측할 수 있게 해 주는 학습 기술이다.
carry out ~을 수행하다
programmatic 프로그램에 따른, 프로그램의
implications 결과, 영향
analyst 분석가
algorithm(알고리즘)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명령들로 구성된 일련의 순서화된 절차이다.
algorithmic 알고리즘의
bias 편향, 편견
neural network 신경 회로망
representation 표현, 표시
reproduce 재현하다, 재생하다
label 꼬리표를 붙여 분류하다
archive 수집 자료, (데이터 등의) 집적
◆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Assumptions are a reflection of what’s going on in one’s mind, where we focus our thinking. When our thoughts are voiced to someone else, we now have a great opportunity to learn the person’s perception. It is precisely from that perception that change efforts can start. Suppose Alex was thinking, “I’m too old to get that job. They’re looking for someone fresh out of school.” As a result, Alex did not apply for the teaching position, even though he really wanted it. Suppose he was a great leader who could turn that school around, but his lack of initiative created a lose-lose for him and for the school district. What if instead he recognized he had unique experiences from his prior roles that could indeed be of true value? If he had ____________________________, he might have taken action, with confidence, and pursued his goal. Stories like this happen too often. They hinder progress and inhibit organizations from achieving their goals. They cause individuals to remain locked in their self-imposed boundaries.
① had graduated from one of the prominent colleges
② had been willing to challenge his own assumption
③ had tackled his assumptions and stopped to change
④ had had contacts that could help in finding a job
⑤ hadn’t been passed over in favor of a younger man
[해석]
가정(假定)이란 우리 마음속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즉 우리 사고의 초점을 어디에 두고 있는지를 반영한다. 우리 생각이 다른 어떤 사람에게 말로 표현되면 이제 우리는 그 사람의 인식을 알게 될 좋은 기회를 얻은 것이다. 변화의 노력이 시작될 수 있는 것은 바로 그 인식으로부터이다. Alex가 “나는 나이가 너무 많아서 저 일자리를 얻을 수 없어. 학교를 갓 졸업한 사람을 찾고 있네”라고 생각 하고 있었다고 가정해 보자. 그 결과 Alex는 그 가르치는 자리를 정말 원했으면서도 거기에 지원하지 않았다. 그가 그 학교 전체를 호전시킬 수 있는 훌륭한 지도자였지만 그의 진취성 부족이 그와 그 학구 모두에 부정적 결과를 낳는 상황을 만들었다고 가정해 보자. 그러는 대신, 그가 정말로 진정한 가치가 있을 수도 있는 이전의 역할에서 온 특별한 경험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면 어땠을까? 만약 자신의 가정의 진실을 기꺼이 의심하려고 했다면, 그는 자신 있게 행동을 취하여 자신의 목표를 추구했을지도 모른다. 이와 같은 이야기들은 너무나 자주 일어난다. 그것들은 앞으로 나 아가는 것을 가로막고 조직이 목표를 달성하는 것을 저해한다. 그것들은 사람들이 스스로 부과한 한계 안에 묶여 있도록 한다.
[해설]
사람들은 자신의 인식을 반영하는 가정을 통해 어떤 행동을 선택하게 되는데, 그 가정에 도전함으로써 변화를 가져오고 한계를 넘어설 수 있다는 내용이므로,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②번이 된다.
[어휘]
assumption 가정, 전제
reflection 생각, 반영
voice 말로 표현하다나타내다
perception 인식, 지각
precisely 정확하게
fresh out of school 학교를 갓 졸업한
turn around 호전시키다, 회복시키다
◆ 주어진 글 다음에 이어질 글의 순서로 가장 적절한 것은?
Physicians claim that a lot of what they do is intuitive.
(A) They model the structure of that practical knowledge which “feels intuitive.” The resulting program will, given the same information as the physician, usually come to the same conclusion. The process of writing such programs has a side effect. If the program “thinks” henceforth like the physician, the physician’s thinking about his or her activity has been changed by collaboration in the making of the program.
(B) What once seemed intuitive to the physician has been shown to be formalizable. At MIT's Artificial Intelligence Laboratory there are knowledge-engineering projects in a domain widely perceived as being even less subject to formalization, even further removed from "rules," than medical diagnosis. This is the domain of jazz improvisation. Here too the AI method follows from the assumption that what looks intuitive can be formalized, and that if you discover the right formalisms you can get a machine to do it.
(C) It is reasoning through the associations built up over years of practice. But when AI scientists work on the problem of medical diagnosis, their effort is to see the diagnostic process as a set of explicit procedures that can be captured in a program. Al experts attack the problem by interviewing a physician over the course of months, trying to pin down every aspect of how he or she makes decisions.
[해석]
의사들은 자신들이 하는 일 중 많은 부분이 직관적이라고 주장한다.
(C) 그것은 여러 해에 걸친 업무에서 축적된 연관성을 통한 추론이다. 그러나 인공 지능 과학자들이 의학 진단 문제를 연구할 때, 그들이 하는 일은 진단 과정을 프로그램에 담길 수 있는 일련의 명시적 절차로 보는 것이다. 인공 지능 전문가들은 여러 달에 걸쳐 의사를 인터뷰함으로써 그 문제에 착수하여, 그 사람이 결정하는 방식의 모든 면을 정확히 밝히려고 노력한다.
(A) 그들은 ‘직관적으로 느껴지는’ 그 실제적인 지식의 구조 모형을 만든다. 그 결과로 나온 프로그램은 의사와 동일한 정보를 제공받을 경우 보통 똑같은 결론에 도달할 것이다. 그런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과정에는 뜻하지 않은 결과가 생긴다. 이후로 그 프로그램이 그 의사처럼 ‘생각한다’고 해도, 자신의 활동에 대한 의사의 생각은 그 프로그램을 만들 때의 협업에 의해 바뀐 상태이다.
(B) 전에는 의사에게 직관적이라고 보였던 것이 공식화가 가능한 것으로 드러났다. MIT의 인공 지능 연구소에는 공식화에 훨씬 덜 영향을 받는, 그리고 의료 진단보다 "규칙"에서 훨씬 더 멀리 떨어진 것으로 널리 인식되는 영역의 지식 공학 프로젝트가 있다. 이것은 재즈 즉흥 연주의 영역이다. 여기서도 AI 방법은 직관적으로 보이는 것이 공식화될 수 있고 올바른 공식을 발견하면 기계가 이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는 가정을 따르고 있다.
[해설]
의사는 자신들이 하는 일 중 많은 일이 직관적이라고 주장하지만, 의사의 그런 직관적인 진단은 인공 지능 프로그램을 통해 공식화가 가능한 것이었다는 내용의 글이다. (C)의 대명사 It은 주어진 문장을 가리키며, (A)의 인칭대명사 They는 (C)의 마지막 문장에서 언급된 ‘인공지능 전문가들(Al experts)’을 뜻한다.
[어휘]
physician 내과의사
initiative 진취성, 결단력, 주도권
reasoning 추론
association 연합, 합동, 제휴
lose-lose 모두에게 부정적 결과만 낳는 상황
district 지구, 지역
recognize 인식하다, 인정하다
prior 전의, 앞의
challenge ~의 진실정당성을 의심하다
take action 행동조치을 취하다
confidence 자신감, 확신
hinder 가로막다, 방해하다
progress 앞으로 나아감, 향상
inhibit 저해하다, 못하게 하다
impose 부과하다, 강요하다
boundary 한계, 경계
intuitive 직관적인
association 연관성, 연상
diagnosis 진단
explicit 명시적인
procedure 절차
pin down ~을 정확 밝다
side effect 부작용
henceforth 이후, 이제부터는
collaboration 협업
formalizable 공식화가 가능한
◆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Although simple repetition does help us learn, psychological research has found that we acquire information most effectively with elaboration, which is when we actively think about its meaning and _________________________. If you want to remember the different perspectives of psychology, for instance, try to think about how each of the perspectives is different from the others. As you make the comparisons, determine what is most important about each one and then relate it to the features of the other perspectives. In an important study showing the effectiveness of elaborative encoding, Rogers, Kuiper, and Kirker found that students learned information best when they related it to aspects of themselves, a phenomenon known as the self-reference effect. This research suggests that imagining how the material relates to your own interests and goals will help you learn it.
① relate the material to something we already know
② infer the information from the context
③ reason the material based on a set of unstated assumptions
④ link the way you think to your knowledge
⑤ use deductive reasoning to reach your conclusion
[해석]
단순 반복이 우리가 배우는 데 정말로 도움이 되기는 하지만, 심리학 연구는 우리가 정교화로 정보를 가장 효과적으로 습득한다는 것을 발견했는데, 이것은 우리가 그것의 의미를 적극 적으로 생각하고 우리가 이미 알고 있는 것과 그 자료를 연관시킬 때를 말한다. 예를 들어, 여러분이 심리학의 서로 다른 관점을 기억하고 싶다면, 각각의 관점이 나머지 관점과 어떻게 다른지 생각해 보라. 비교할 때, 각각의 것(관점)에 관해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 결정한 다음, 그것을 다른 관점의 특징과 관련시키라. 정교 부호화의 효과를 보여 주는 중요한 한 연구에서, Rogers, Kuiper, Kirker는 학생들이 정보를 자신의 측면과 관련시킬 때 그것을 가장 잘 배운다는 것을 발견했는데, 이것은 자기 참조 효과로 알려진 현상이다. 이 연구는 자료가 자신의 흥미 및 목표와 어떻게 관련되는지를 상상하는 것이 그것을 배우는 데 도움이 되리라는 것을 보여 준다.
[해설]
자료가 자신의 흥미 및 목표와 어떻게 관련되는지를 상상하는 것이 그것을 배우는 데 도움이 된다는 내용의 글이다. 따라서 정답은 ①번이 된다.
[어휘]
repetition 반복
acquire 습득하다
effectively 효과적으로
elaboration 정교화
elaborative encoding(정교 부호화) 기억해야 할 정보를 기존의 기억이나 지식과 연관시키는 기억법
relate 관련시키다, 관련이 있다
perspective 관점
comparison 비교
determine 결정하다
feature 특징
phenomenon 현상
self-reference effect(자기 참조 효과) 자신의 중요한 경험과 연관된 정보가 잘 처리되어 기억되는 현상
◆ 문제 관련 질문 있으시면 아래에 '댓글 쓰기'에 글 남겨주시면 확인 즉시 설명드리겠습니다.
♥ 공감 클릭과 댓글 작성 부탁드려요~ ღゝ◡╹)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