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독해 문제- The encoding of information in terms of language-specific concepts

◆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문맥상 낱말의 쓰임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The encoding of information in terms of language-specific concepts ①influences its recall. Evidence of this was obtained from a study by Hoffman, Lau, and Johnson where Chinese bilingual participants read personality descriptions in either Chinese or English. Some descriptions had a name in English but not in Chinese, and others had a name in Chinese but not in English. Participants had ②worse memory for details of the descriptions that could be related in terms of a concept that had a name in the language in which they were read and in which they were presented than if they could not. Thus, individuals from different cultures may not ③differ in their perception of the physical stimuli they encounter. Nevertheless, the language-specific concepts they apply to these stimuli may have features associated with them that are unique. If these concepts are later recalled and used as a ④basis for judgment rather than the original information to which the concepts were applied, these associated features could later bias their responses. An indication of this bias was obtained by Schmitt and his colleagues. Nouns in the Chinese language, unlike English or European languages, are ⑤preceded by “classifiers” that convey mor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class to which the referent belongs.

[해석]

각 언어 특유의 개념에 의해 정보를 부호화하는 것은 그 정보의 상기에 영향을 미친다. 이에 대한 증거가 중국인 이중 언어 참가자들이 중국어나 영어 둘 중 하나로 성격 묘사를 읽는 Hoffman, Lau, Johnson에 의한 연구에서 나왔다. 어떤 묘사는 영어에는 명칭이 있었지만 중국어에는 없었고, 다른 묘사는 중국어에는 명칭이 있었지만 영어에는 없었다. 참가자들은 묘사의 읽기와 제시에 이용된 언어에 명칭이 있는 개념에 의해 연관 지을 수 있는 묘사의 세부 사항을 그렇지 못한 경우보다 더 잘 기억했다. 따라서 다른 문화권의 사람들이라도 자신들이 접하는 물리적 자극에 대한 인식이 다르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이 이 자극에 적용하는 각 언어 특유의 개념들은 그것들과 관련된 독특한 특징들을 갖고 있을 수도 있다. 만약 이러한 개념들이 추후 상기되어 그 개념들이 적용되었던 원래의 정보 대신에 판단의 기초로 사용된다면, 이 관련 특징들은 나중에 그들의 반응을 편향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편향의 사례는 Schmitt와 그의 동료들의 연구에 의해 밝혀졌다. 중국어의 경우, 영어나 유럽어와는 달리 지시 대상이 속하는 보다 일반적인 특성을 전달하는 "분류사"가 그 앞에 위치한다.

[해설]

각 언어가 가진 특유한 개념에 의한 정보 부호화와 그것의 영향에 대한 내용이다. 첫 문장에서 각 언어 특유의 개념에 의해 정보를 부호화하는 것은 그 정보의 상기에 영향을 미친고 설명하고 있으므로 ②worse의 반대 개념인 better로 표현해야 적절하다.

[어휘]

encode 부호화하다, 암호화하다

in terms of ~에 의해, ~의 면에서

recall 상기; 상기하다

description 묘사, 기술

perception 인식

encounter 접하다

apply to ~에 적용하다

feature 특징

associated with ~과 관련된

bias 편향시키다

bilingual 이중 언어의, 2개 국어를 구사하는

indication 지시, 지적; 암시; 표시; 징조, 조짐

noun 명사(사람·사물·장소·특질·활동을 가리키는 단어)

precede …에 앞서다[선행하다]

classifier 분류사(한 단어가 어떤 의미 그룹에 속하는지를 보여주는 접사나 단어. 예를 들어 접두사 un은 그 단어가 부정어임을 보여주는 분류사이다.)

referent (단어의) 지시 대상

◆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Humans, like other omnivores, experience the “omnivore’s dilemma”: they need to seek variety in their diets to meet nutritional requirements, but ingesting new substances can be potentially dangerous. This dilemma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Although food neophobia, or negative reactions to new foods, is minimal in infants, it increases through early childhood so that 2- to 5-year- olds, like other young omnivores, demonstrate neophobia. This would have adaptive value because infants are fed by adults, but toddlers are beginning to explore their world and have not learned yet what is safe to eat and what is not. However, neophobia can be reduced by experience with food, probably through a “learned safety mechanism.” That is, when eating a food is not followed by negative consequences, increased food acceptance results. Studies with children show that preference increases with repeated opportunities to sample new foods, sometimes requiring 12 to 15 exposures. Once the foods are familiar, the preferences tend to persist. Similar results have been found for adults. In addition, tasting or actual ingestion was found to be necessary — not just looking at or smelling the food.

① demonstrates how picky humans are about food

② can be resolved through familiarity and conditioning

③ implies one hesitates to give up even though it is of little interest

④ is designed to meet the exacting standards of today’s marketplace

⑤ is derived from human nature to exhaust all of one's means

[해석]

인간은 다른 잡식성 동물과 마찬가지로 ‘잡식성 동물의 딜레마’ 를 경험한다. 즉, 그들은 영양 요건을 충족하기 위해 자신들의 식단에 다양성을 추구할 필요가 있지만, 새로운 물질을 섭취하는 것은 잠재적으로 위험할 수 있다. 이러한 딜레마는 친숙함과 훈련을 통해 해결될 수 있다. 식품 기신증, 즉 새로운 음식에 대한 부정적 반응은 영아에게서 아주 적지만, 초기 아동기 내내 증가하여 다른 어린 잡식성 동물과 마찬가지로 2~5세의 아동은 식품 기신증을 보인다. 이것에는 적응적 가치가 있을 터인데, 영아는 성인에게서 음식을 제공받지만, 유아는 자신들의 세계를 탐험하기 시작하는 중이고, 무엇이 먹기에 안전하고 무엇이 그렇지 않은지를 아직 배우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식품 기신증은 아마도 ‘학습된 안전 기제’를 통한 음식 경험에 의해 줄어들 수 있다. 즉, 음식을 먹는 데 부정적인 결과가 뒤따르지 않을 때, 결과적으로 음식 수용이 증가한다.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새로운 음식을 시식할 기회가 반복될수록 선호도가 증가하며, 때로는 12회에서 15회 접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 준다. 일단 음식이 익숙해지면, 선호도는 지속되는 경향이 있다. 성인에서도 비슷한 결과가 나왔다. 아울러, 음식을 단순히 보거나 냄새를 맡는 것만이 아니라 시식이나 실제 섭취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설]

인간은 잡식성 동물의 딜레마를 경험하지만, 한 음식을 반복해서 먹을 때 부정적인 결과가 뒤따르지 않는다면 결과적으로 그 음식 수용이 증가한다고 설명하고 있으므로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②번이 된다.

[어휘]

omnivore 잡식성 동물

seek 추구하다

nutritional 영양의, 영양학적인

requirement 요건

ingest 섭취하다

substance 물질

resolve (문제 등을) 해결하다

familiarity 익숙함, 낯익음, 친근함

conditioning (특정 조건에 반응을 보이거나 익숙해지게 하는) 훈련[길들이기]

sample 시식하다

exposure 접(하게)함, 노출

persist 지속되다

result 결과; 결과로서 생기다

food neophobia 식품 기신증(낯선 음식에 대한 거부 행동)

minimal 아주 적은, 최소한의

infant 영아

demonstrate 보이다, 보여 주다

adaptive 적응의, 적응력이 있는

toddler 유아

reduce 줄이다, 감소하다

mechanism 기제

adaptive value (적응적 가치): 특정한 생태계에서 어떤 유기체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적·후천적 특성의 총체를 말한다.

◆ 문제 관련 질문 있으시면 아래에 '댓글 쓰기'에 글 남겨주시면 확인 즉시 설명드리겠습니다.

♥ 공감 클릭과 댓글 작성 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