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독해 문제- Done in private, an attack on our exposed self-image can cause us to doubt

◆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문맥상 낱말의 쓰임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Done in private, an attack on our exposed self-image can cause us to doubt our identity, but done in public, an attack can additionally damage our ①status in society. As soon as we reveal our self-image to others, we open ourselves to attacks. Suppose that on learning of our self-image, someone questions whether it is an appropriate self-image — whether, that is, it corresponds to reality. If they challenge our self-image in private, their challenge can be quite ②painful: they might make us doubt that we are who we think we are. The attack on us, though not physical, is very real, inasmuch as it goes to the core of our self-perceived being. And if they challenge our self-image in public — by, say, creating a website that mocks us — the pain we experience is compounded: the challenge, besides making us doubt our self-image, can ③jeopardize our standing in the social hierarchy. Suppose we have been telling people that we should be admired for, say, being a gifted poet but that when they see our poems, they find them lacking. The people we were trying to impress, instead of looking up to us, will look ④down on us. We all recognize how painful attacks on self-image can be. As a result, we form unspoken pacts to help each other preserve our self-images. Thus, in a group conversation, if someone says something, ether accidentally or intentionally, "that challenges a group-member's self-image, another member of the group is likely to intervene and say something that will ⑤forbid the challenged person to save face.

[해석]

우리의 노출된 자아상에 대한 공격이 다른 사람이 없는 곳에서 이루어지면 우리가 자신의 정체성에 대해 의심하도록 만들 수 있지만, 다른 사람이 있는 곳에서 이루어지면 그 공격은 추가적으로 사회에서의 우리 지위를 손상할 수 있다. 우리가 우리의 자아상을 다른 사람들에게 드러내자마자, 우리는 자신을 공격에 노출시킨다. 어떤 사람이 우리의 자아상에 대해 알게 되자마자, 그것이 맞는 자아상인지, 즉 그것이 현실과 부합하는지를 묻는다고 가정해 보라. 만일 그들이 다른 사람이 없는 데서 우리의 자아상에 도전한다면, 그들의 도전은 상당히 고통스러울 수 있다. 즉, 그들은 우리가 우리 자신이 알고 있는 바로 그 사람인지 의심하게 할 수도 있다. 신체적인 공격은 아닐지라도, 우리에 대한 공격은 우리가 스스로 인식하는 존재의 핵심에 미친다는 점을 고려하면 매우 현실적이다. 그리고, 그들이 다른 사람이 있는 데서, 가령 우리를 조롱하는 웹사이트를 만듦으로써, 우리의 자아상에 도전한다면, 우리가 느끼는 고통은 더 심해진다. 즉, 그 도전은 우리가 우리의 자아상을 의심하게 만들 뿐만 아니라 사회적 위계에서 우리의 지위를 위태롭게 할 수도 있다. 가령 우리가 사람들에게 우리 자신이 재능있는 시인이므로 존 경받아야 한다고 말해 왔는데, 그들이 우리의 시를 보았을 때 그 시들이 부족하다고 느끼게 된다고 가정해 보라. 우리가 깊은 인상을 주려 했던 사람들이 우리를 존경하는 대신 우리를 경멸할 것이다. 우리 모두는 자아상에 대한 공격이 얼마나 고통스러운 것인지 알고 있다. 결과적으로 우리는 서로의 자아상을 보호하기 위해 암묵적인 계약을 맺는다. 따라서 그룹 대화에서 누군가가 실수로든 의도적으로든 그룹 구성원의 자아상에 도전하는 무언가를 말하면 그룹의 다른 구성원이 개입하여 도전을 받은 사람의 체면을 세워줄 수 있는 말을 할 가능성이 높다.

[해설]

우리가 자아상을 노출했을 때, 다른 사람이 없는 곳에서 그 자아상이 공격받게 되면 우리의 정체성을 의심하게 될 수 있고, 다른 사람이 있는 데서 자아상이 공격받게 되면 우리의 지위가 위태로 워질 수 있다는 내용의 글이다.

글의 후반부에 자아상에 대한 공격이 상당히 고통스럽기 때문에 우리는 서로의 자아상을 보호하기 위해 암묵적인 계약을 맺는다고 주장하고 있다. 따라서 그룹 대화에서 누군가가 그룹 구성원의 자아상에 도전하면 그룹의 다른 구성원이 개입하여 도전을 받은 사람의 체면을 세워줄 수 있는 말을 할 가능성이 높다고 해석하는 것이 적절하다. 따라서 ⑤forbid를 allow와 같은 의미의 동사로 고쳐써야 한다.

[어휘]

attack 공격

in private 다른 사람이 없는 데서

status (사회적) 지위

reveal 드러내다

appropriate 적절한

correspond to ~에 부합하다[일치하다]

inasmuch as ~한 점을 고려하면, ~이므로

mock 조롱하다

compound 더 심하게 하다, 악화시키다

besides ~뿐 아니라, ~ 외에

jeopardize 위태롭게 하다

standing 지위, 평판

hierarchy (사회나 조직의) 위계, 계층, 계급

impress 깊은 인상을 주다, 감동하게 하다

look up to ~을 존경하다

look down on ~을 경멸하다

self-image 자아상

pact (개인간의) 약속; 계약; (국가간의) 협정, 조약.

accidentally 우연히

intentionally 의도적으로

intervene (상황 개선을 돕기 위해) 개입하다, (다른 사람이 말하는 데) 끼어들다[가로막다]

save face 체면을 지키다, 창피를 면하다

◆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은?

Larson and Pleck’s study yielded a contradictory result to the traditional stereotype of gender differences in emotion and ①showed that men and women were almost identical in their emotional states. A long-standing stereotype depicts women as more emotional than men. Women are supposed to be more readily overcome with feelings and ②to be more guided by them, as opposed to men, who make decisions based on cool, rational deliberation. Is this stereotype accurate? A large-scale study by Larson and Pleck had adult married men and women ③carrying beepers around. Whenever they heard a beep they were supposed to stop what they were doing and fill out a quick rating of their current mood and emotional state. Thousands of emotional reports were obtained in this study of ④what men and women felt as they went about their daily activities. The result? No gender differences. Men and women were remarkably alike in the degree to which they reported feelings at any point on the emotional continuum — strong bad emotions, strong good ones, mild bad, mild good, neutral. “There was simply no evidence ⑤that the husbands were less emotional than their wives,” concluded the researchers. The absence of notable gender differences was equally striking when we looked at responses for all of the items for individual feeling states. From this list we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husbands and wives for items ⑥reflecting basic emotions, including anger and anxiety.

[해석]

Larson과 Pleck의 연구는 감정에서의 성 차이에 대한 전통적고 정관념에 대해 상반되는 결과를 가져왔으며, 남성과 여성은 감정 상태가 거의 일치한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오래된 고정관념은 여성을 남성보다 더 감정적이라고 묘사한다. 침착하고 이성적인 숙고에 근거하여 결정하는 남성과 달리, 여성은 더 쉽게 감정에 압도당하고 감정에 의해 더 이끌린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고정관념은 정확한가? Larson과 Pleck의 대규모 연구는 성인 기혼 남녀에게 무선 호출기를 지니고 다니게 했다. 그들이 삐 소리를 들을 때마다 하던 일을 멈추고 자신들의 현재 기분과 감정 상태를 신속하게 평가해 작성하기로 되어 있었다. 남성과 여성이 자신들의 일상 행동을 할 때 어떤 기분이 드는지에 관한 이 연구에서 수천 개의 감정 보고서를 얻었다. 결과는?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남성과 여성은 강한 나쁜 감정, 강한 좋은 감정, 중간 정도의 나쁜 감정, 중간 정도의 좋은 감정, 중립적인 감정과 같은 감정 연속체의 어느 지점에서든 그들이 보고한 감정의 정도가 매우 비슷했다. “남편이 아내보다 덜 감정적이라는 증거는 전혀 없었다.”라고 연구자들은 결론을 내렸다. 개별 감정 상태에 대한 모든 항목에 대한 응답을 살펴볼 때 주목할 만한 성별 차이가 없는 것도 똑같이 인상적인 결과였다. 이 목록에서 우리는 분노와 불안을 포함한 기본 감정을 반영하는 항목에 대해 남편과 아내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음을 발견했다.

[해설]

③[A large-scale study by Larson and Pleck] had adult married men and women carry beepers around.

[ ]는 문장의 주어 역할을 하며 술어동사는 had이다. 「사역동사 have+목적어+목적격보어」 구문에서 목적격보어로 원형부정사인 carry가 사용되어야 한다.

②Women are supposed [to be more readily overcome with feelings] and [to be more guided by them], as opposed to men, [who make decisions based on cool, rational deliberation].

첫 번째와 두 번째 [ ]는 to부정사구로 and로 연결되어 supposed 에 이어진다.

세 번째 [ ]는 men을 부연 설명하는 관계절이다.

[어휘]

stereotype 고정관념

depict 묘사하다, 그리다

beeper 휴대용 무선 호출기

be supposed to do ~하다고 생각되다, ~하기로 되어 있다

readily 쉽게, 기꺼이

overcome 압도하다, 정복하다

deliberation 숙고, 신중함

remarkably 매우, 몹시

continuum 연속(체)

notable 주목할 만한, 눈에 띄는; 중요한, 유명한

striking 눈에 띄는, 두드러진, 현저한

significant (영향을 주거나 두드러질 정도로) 중요한, 의미 있는

reflect (사물의 속성·사람의 태도·감정을) 나타내다[반영하다]

anxiety 불안(감), 염려

◆ 문제 관련 질문 있으시면 아래에 '댓글 쓰기'에 글 남겨주시면 확인 즉시 설명드리겠습니다.

♥ 공감 클릭과 댓글 작성 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