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해 문제 - If we look to the larger region of the town as a whole, the character of the many
◆ 글의 흐름으로 보아, 주어진 문장이 들어가기에 가장 적절한 곳은?
If we look to the larger region of the town as a whole, the character of the many particular places within the town is similarly dependent on the interrelation of places within the region as a whole and the same is also true of entire landscapes.
The concept of place is characteristically the concept of an open region, in which things reside and in which relations between things can be established. ① The idea of place as it operates in talk of a place or square within a town provides a neat example of this. ② But such a place is itself constituted through the interrelation of the elements within it. ③ The town square thus provides a bounded, oriented space within which the affairs of the town are brought into focus, in which particular buildings and activities take on a certain character and identity, in which individual persons are able to take on the role of citizens. ④ But the character of the place is itself dependent on what is brought to focus within it. ⑤ Thus, if one is to delineate the structure of a place or region, then what is required is to exhibit the structure of the region as a whole as it is constituted through the interplay of the various elements within it.
[해석]장소라는 개념은 그 특징상 사물이 존재하고, 사물 간의 관계가 성립될 수 있는 열린 영역의 개념이다. 한 도시 안의 어떤 장소나 광장에 관한 이야기 속에서 작동하는 장소에 대한 생각이 이것의 훌륭한 예를 제공한다. 그러나 그러한 장소는 그 자체로 그 안에 있는 요소들의 상호 관계를 통해 구성된다. 따라서 도시의 광장은 그 도시의 일에 초점이 맞추어지고, 특정한 건물과 활동이 특정한 성격과 정체성을 띠며, 개개인이 시민의 역할을 맡을 수 있는 한정되고 방향성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그러나 그 장소의 성격은 그 자체로 그 안에서 무엇에 초점이 맞추어지느냐에 좌우된다. 도시의 더 큰 지역 전체를 생각해 보면, 그 도시 내의 많은 특정한 장소들의 성격도 이와 유사하게 그 지역 전체 안에 있는 장소들의 상호 관계에 달려 있으며, 전체의 풍경도 마찬가지다. 그러므로 어떤 장소나 지역의 구조를 묘사하고자 한다면, 그럴 경우 필요한 것은 그 지역 전체의 구조를 보여주는 것인데, 그 이유는 그 지역이 그 안에 있는 다양한 요소들의 상호 작용을 통해 구성되기 때문이다.
[해설]장소 안에서는 사물이 존재하고 사물 간의 관계가 성립되며, 그것의 성격은 무엇에 초점이 맞춰지느냐에 따라 달라지는데, 전체적으로 장소는 그 지역 내의 다양한 요소들의 상호 관계를 통해 구성된다는 내용의 글이다. ⑤번 앞 문장에서는 장소의 성격은 그 자체로 그 안에서 무엇에 초점이 맞추어지느냐에 좌우된다고 주장하고 있으며, 주어진 문장에서 그 논거를 제시하고 있다.
[어휘]characteristically 특징상, 특징적으로
reside 존재하다, 살다
establish 성립하다, 확립하다
square 광장, 정사각형
neat 훌륭한, 단정한
constitute 구성하다, 이루다
interrelation 상호 관계
element 요소
bounded 한정된
oriented 방향성이 있는
affair 일, 용건
take on (성격 등을) 띠다, (역할 등을) 맡다
entire 전체의
delineate 묘사하다
exhibit 보여 주다, 나타내다
◆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은?In an American context, Jack Balkin has tried to explain law's resilience when faced with the interpretive claims of other disciplines. He argues, ①echoing earlier writers (such as Posner), that law is inherently weak as an academic field. It is highly susceptible to invasion by other disciplines. Although sociology is one such invader, the disciplines that, in the US, have recently been most successful in invading law ②has been economics, history, philosophy, political theory and literary theory. Balkin claims that law is so easily invaded because it 'is less an academic discipline than a professional discipline. It is a skills-oriented profession, and legal education is a form of professional education.' Law does not have a 'methodology of its own.' It borrows methodologies from any discipline that can supply them. On the other hand, because law ③is researched and taught in settings that are never far from the professional demands of legal practice, it cannot be entirely absorbed by any other discipline. Its professional focus compensates for the lack of a purely intellectual ④one. Thus, even economic analysis of law, by far the most successful recent intellectual invader of the American law school, cannot completely colonize law because ⑤its disciplinary direction ultimately diverges from law's professional orientation.
[해석]미국 상황에서, Jack Balkin은 해석과 관련된 다른 학문 분야의 주장에 직면할 때 법학의 탄력성을 설명하려고 노력해 왔다. 그는 (Posner와 같은) 초기 저술가들에게 동조하면서, 법학은 본질적으로 학문 분야로서 취약하다고 주장한다. 법학은 다른 학문 분야의 침범에 매우 영향받기 쉽다. 사회학이 그러한 침략자 중 하나이기는 하지만, 최근 미국에서 법학을 침범하는 데 가장 성공한 학문 분야는 경제학, 역사학, 철학, 정치 이론 및 문학 이론이었다. Balkin이 주장하기를, 법학이 매우 쉽게 침범되는 이유는 그것이 '학문적인 분야라기보다는 직업적인 분야이기 때문이다. 그것은 기술 중심의 전문직이며, 법률 교육은 직업 교육의 한 형태이다' 법학은 '그 자체만의 방법론'이 없다. 그것은 방법론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떤 학문 분야로부터도 그것을 차용한다. 다른 한편으로 법학은 법률 실무의 직업적인 요구로부터 결코 멀지 않은 환경에서 연구되고 교육되기 때문에, 어떤 다른 학문 분야에도 완전히 흡수될 수는 없다. 법학의 직업적인 초점이 순수하게 지적인 초점의 결핍을 보완한다. 따라서 최근 미국 로스쿨의 가장 성공적인 지적 침략자인 법에 대한 경제적 분석조차도 법의 학문적 방향이 궁극적으로 법의 전문적 지향과 다르기 때문에 법을 완전히 식민화할 수 없었다.
[해설]② Although sociology is one such invader, the disciplines [that, in the US, have recently been most successful in invading law] have been economics, history, philosophy, political theory and literary theory.
the disciplines가 주절의 주어이며 [ ]는 주어를 수식하는 관계절이며, ‘have been’이 동사에 해당한다. 주어가 복수이므로 동사 또한 당연히 have로 써야 한다.
① He argues, [echoing earlier writers (such as Posner)], [that law is inherently weak as an academic field].
첫 번째 [ ]는 He가 의미상의 주어인 분사구문이고, 두 번째 [ ]는 argues의 목적어 역할을 하는 명사절이다.
[어휘]
resilience 탄력성
interpretive 해석과 관련된, 해석상의
claim 주장, 요구
discipline 학문 분야, 규율
echo 동조하다, 공감하다, 반향하다
inherently 본질적으로
academic 학문의, 학문적인
be susceptible to ~에 영향을 받기 쉽다, ~에 민감하다
invasion 침범, 침입
sociology 사회학
literary 문학의
professional 직업적인, 직업의, 전문적인
methodology 방법론
demand 요구, 수요
entirely 완전히
absorb 흡수하다
◆ 다음 글의 주제로 가장 적절한 것은?
If you happen to disagree about sports, it doesn't mean that you can't work through this conflict. Every once in a while, invite your non-fan to sit down and watch the game with you. Perhaps you can try to teach non-fans about the background of the sport or how it is played. Be patient, because you may be about to hit one of their pet peeves. If the non-fan doesn't want to learn about sports, back off, but you may be surprised by his or her response. If this is a problem area in your relationship, here is a chance to turn the situation around and to show your significant other that you really do want to spend time together. With a little patience, you might win the person over to watching with you ― and wouldn't some together time be a great outcome for an afternoon or evening (regardless of the outcome of the game itself!). If you can show her what to look for, explain some of the more basic rules of the game and the story behind it, your non-fan may come around. New fans are created all the time, so there is always hope! But please, do not force the issue if they continue to fight it.
① Dumb girls crave smart men
② Your non-fan always wins a game
③ Women don't understand sports as well as men
④ All fans hope their team will triumph
⑤ Patience is bitter, but its fruit is sweet
[해석]
여러분이 스포츠 경기에 대해 의견이 일치하지 않게 되더라도 그것이 여러분이 이런 갈등을 해결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가끔 팬이 아닌 사람을 초대해서 여러분과 함께 앉아 경기를 보도록 하라. 어쩌면 여러분은 팬이 아닌 사람에게 그 스포츠 경기의 배경지식이나 그것이 진행되는 방식에 대해 가르치려고 노력할 수 있다. 인내심을 가져야 하는데, 왜냐하면 여러분은 그들이 아주 싫어하는 것 중 하나를 막 건드리려고 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만약 팬이 아닌 사람이 스포츠 경기에 대해 배우기를 원치 않는다면, 그만두라. 하지만 여러분은 그 사람의 반응에 놀랄지도 모른다. 만약 이것이 여러분의 관계에서 문제가 되는 부분이라면, 상황을 반전시키고 여러분의 중요한 상대에게 여러분이 정말로 함께 시간을 보내고 싶어 한다는 것을 보여 줄 기회가 여기에 있다. 조금만 인내심을 가지면 그 사람을 설득하여 여러분과 함께 보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며, 그리고 오후나 저녁에 얼마간의 시간을 함께 보내는 것이 큰 성과가 아니겠는가(그 경기 결과 자체와 상관없이!). 만약 여러분이 그녀에게 무엇을 알아야 하는지 보여 줄 수 있고 경기의 더 기본적인 몇 개의 규칙, 그리고 그 경기 이면에 있는 이야기를 설명해 줄 수 있다면, 팬이 아닌 사람은 마음을 바꿀 수도 있다. 새로운 팬은 향상 생긴다. 그래서 항상 희망이 있다! 하지만 그들이 그 문제와 계속 싸운다면, 부디 그것을 강요하지 않길 바란다.
[해설]
팬이 아닌 사람과 스포츠 경기에 대해 의견이 일치하지 않게되더라도, 인내심을 가지고 그 사람과 함께 경기를 보며 그 경기의 기본적인 규칙과 이면의 이야기를 설명해 주면, 그 사람이 새로운 팬이 될 수 있다는 내용의 글이다. 그러므로 글의 주제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⑤ ‘인내는 쓰고 열매는 달다‘가 된다.
[어휘]
work through ~을 해결하다
conflict 갈등, 마찰
every once in a while 가끔
background 배경지식
pet peeve 아주 싫어하는 것
back off 그만두다
patience 인내심
win over ~을 설득하다
outcome 성과, 결과
come around 마음[생각]을 바꾸다
triumph 승리를 거두다, 이기다
◆ 다음 글에서 전체 흐름과 관계 없는 문장은?
The modem concept of law and the modern sociological concept of society have common origins in the composite idea of the nation state brought to full realization in the revolutionary period of the late eighteenth century. ① In the shadow of this idea, law and society are almost mutually defining. Society is for many definitional purposes political society; that is, a territorially defined arena of social interaction regulated by a specific political system (for example, British society; French society). ② If this portrayal of social conditions is even partly plausible it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concept of law with which legal sociology has typically worked. ③ Society is, thus, significantly delimited by the jurisdictional reach of legal systems; this, however, undermines the idea that law is in some sense a product or expression of society. ④ One might put matters the other way around: (political) society is a product of law. ⑤ If the unity of society is fragmented, so too is that of law as a social phenomenon.
[해석]
법에 관한 현대적인 개념과 사회에 관한 현대적인 사회학적 개념은 18세기 후반의 혁명기에 완전히 실현된 민족 국가의 복합적인 개념에 공통된 기원을 두고 있다. 이런 개념의 영향 아래, 법과 사회는 거의 상호 규정적이다. 사회는 여러 가지 정의적인 목적상 '정치적' 사회이다. 즉, 특정한 정치 체제(예를 들어, 영국 사회, 프랑스 사회)에 의해 통제되는, 영토로 규정된 사회적 상호 작용의 무대이다. 사회 조건에 대한 이러한 묘사가 부분적으로나마 그럴듯하다면 그것은 법 사회학이 일반적으로 작동하는 법 개념에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그러므로 사회는 법 체제의 관할권 범위에 의해 경계가 크게 정해진다. 그러나 이것은 법이 어떤 의미에서는 사회의 산물이나 표출이라는 생각을 약화시킨다. 문제를 반대로 생각하는 사람이 있을지도 모른다. 즉, (정치적) 사회는 법의 산물이라는 것이다. 만약 사회의 통일성이 해체된다면, 사회 현상으로서 법의 그것[통일성]도 역시 그렇게 된다.
[해설]
사회는 법 체제의 관할권 범위에 의해 경계가 크게 정해지지만, 이것은 법이 사회의 산물이라는 생각을 약화시키는 것이고, 반대의 생각(사회가 법의 산물)도 있겠으나 법은 사회 현상으로서 사회의 영향을 받으므로, 결국 법과 사회는 서로를 규정한다는 내용의 글이다. 그러므로 ②번 문장은 글의 전체 흐름과 관계 없는 내용이 된다.
[어휘]
composite 복합적인, 혼합의
nation state 민족 국가
in the shadow of ~의 영향 아래
territorially 영토로, 지역적으로
arena 무대, 경기장
regulate 통제[규제]하다
portrayal (그림·연극·책 등에서의) 묘사
plausible 타당한 것 같은, 이치에 맞는, 그럴듯한
implication (행동·결정이 초래할 수 있는) 영향[결과], 함축, 암시
sociology 사회학
significantly 크게, 상당히
delimit 경계[범위]를 정하다
jurisdictional 관할권의, 사법권의
undermine 약화시키다
the other way around 반대로, 거꾸로
unity 통일성
fragment 해체하다
mutually 상호적으로
♥ 공감 클릭과 댓글 작성, 그리고 이웃추가 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