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다음 글에서 전체 흐름과 관계 없는 문장은?
Heller and Eisenberg claimed that gene patenting may cause a problem of the "tragedy of the anti-commons" for biomedical research, because a gene patent can be broad enough to cover any commercial use of the gene and the gene product.
Heller와 Eisenberg는 유전자 특허가 그 유전자와 유전자 제품의 어떠한 상업적 사용에도 적용될 만큼 충분히 광범위할 수 있으므로 유전자 특허를 받는 것이 생물 의학 연구에 '비공유지의 비극'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① When people hold a resource in common, they tend to overuse it because they lack any incentive to conserve the resource.
사람들이 공동으로 자원을 보유할 때, 그들은 그것을 보존할 어떠한 동기도 없으므로 그 자원을 남용하는 경향이 있다.
② This overuse is generally referred to as a "tragedy of the commons," and privatization is often used to solve this problem.
이러한 과도한 사용은 일반적으로 공유지의 비극'으로 불리며, 사유화가 종종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된다.
③ However, when a scarce resource is overprivatized the result can be a "tragedy of the anti-commons," which will result in the under-use of a resource because too many people are excluded from using the resource.
그러나 부족한 자원이 지나치게 사유화되면 그 결과는 비공유지의 비극이 될 수 있으며, 이는 너무 많은 사람이 그 자원 사용에서 제외되기 때문에 자원의 불충분한 이용으로 귀결될 것이다.
④ Opponents to gene patents argue that genes cannot fulfill the patent law test for novelty because they exist in nature.
유전자 특허에 반대하는 사람들은 유전자가 자연에 존재하기 때문에 새로움에 대한 특허법의 기준을 충족시킬 수 없다고 주장한다.
⑤ Under-use in human gene patents was said to be pervasive, because the high licensing fee limits any further research, especially when most diseases are polygenic, meaning that multiple genes are involved in the manifestation of a disease and several pieces of genetic material are needed to develop a product.
인간의 유전자에 대한 특허를 불충분하게 이용하는 현상이 만연해 있다고 했는데, 그 이유는 특히 대부분의 질병이 다유전자성이어서, 여러 개의 유전자가 질병의 발현에 관여하며 어떤 제품을 개발하기 위해 여러 개의 유전 물질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할 때, 높은 특허권 사용료가 다른 추가적인 연구를 제한하기 때문이다.
3. 주어진 글 다음에 이어질 글의 순서로 가장 적절한 것은?
The thing about maintaining a lawn is that the very action of cutting encourages grasses to multiply.
잔디밭을 유지하는 데 있어 문제는 깎는 바로 그 행위가 잔디가 증식하는 것을 부추긴다는 것이다.
Trees, for example, do very poorly if you repeatedly and regularly cut them down just above the ground.
예를 들어, 만약 반복적으로 그리고 정기적으로 나무를 지면 바로 위에서 자르면, 제대로 자라지 못한다.
(A) If you chop off the leaves of a grass plant it merrily continues to grow from the bottom, unconcerned by the decapitation it receives.
잔디 식물의 잎을 잘라낸다 하더라도, 그것은 자신이 당하는 목 베기에 개의치 않고 즐겁게 맨 아래부터 계속 자란다.
Grasses have evolved this system in response to being repeatedly eaten by herbivores.
잔디는 초식동물들에게 반복적으로 먹히는 것에 대응하여 이 체계를 진화시켜 왔다.
By regularly mowing a lawn, the only plants that can survive are grasses.
정기적으로 잔디밭을 깎음으로써 살아남을 수 있는 유일한 식물은 잔디이다.
(B) This regrowth can only happen at considerable energy cost to the plant.
이 재성장은 그 식물에 있어 상당한 에너지 비용을 들여야만 일어날 수 있다.
If you keep doing this, eventually the plant will give up the ghost and die.
계속해서 이렇게 하면 결국 그 식물은 멈추고 죽게 된다.
On the other hand, grasses keep their meristems tucked away at the base of the plant.
반면에 잔디는 자신의 분열조직을 그 식물의 기부에 숨겨둔다.
(C) In fact, many plants cannot cope with being regularly felled.
사실상 많은 식물은 정기적으로 베어 넘어뜨리는 데 대처할 수 없다.
The bit of a plant that does the growing is called a meristem, and in plants such as tulips, begonias and carnations, the meristems are at the tips of the growing shoots.
성장을 수행하는 식물의 부분을 분열조직이라고 하며, 튤립, 베고니아, 카네이션과 같은 식물에서는 분열조직이 자라는 싹의 끝에 있다.
If you cut these plants off at the ground, you chop off the meristem, and they have to start the process of producing a shoot all over again.
이 식물들을 지면에서 잘라내면, 분열조직을 잘라버리게 되는데, 그것들은 싹을 만들어 내는 과정을 처음부터 다시 시작해야 한다.
decapitation 목 베기 give up the ghost 멈추다 meristem 분열조직
⑤ (C)-(B)-(A)
4.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은?
The effect of one's actions on collective consequences, and one's participation in those consequences regardless of one's actions, is relevant because there is a dollar value ① associated with these actions.
집단적 결과에 미치는 개인의 행동의 영향과 자신의 행동과 관계없이 그 결과에 개인이 참여하는 것의 영향은 이러한 행동들과 결부된 금전적 가치가 있기 때문에 실제로 중요하다.
Furthermore, that dollar value can be complicated.
게다가, 그 금전적 가치는 많은 부분이 서로 뒤얽혀 있을 수 있다.
When the cost of gasoline is high enough, the extra initial cost of a more fuel-efficient vehicle - or one that does not use gasoline at all - can seem less expensive, even if one does not quite believe the car will "pay for itself" through its fuel savings.
휘발유 가격이 충분히 높을 때, 연료 효율이 더 높은 자동차, 또는 휘발유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 자동차의 초기 추가 비용은 그 차의 연료 절약으로 비용만큼 돈이 절약될 것이라고 전적으로 믿지 않더라도 덜 비싸 보일 수 있다.
However, if enough people ② were to buy those vehicles - in sufficient numbers to reduce the demand for gasoline - the cost of gasoline would come down.
그러나, 만약 충분한 사람들이 휘발유 수요를 줄일 수 있는 충분한 숫자로 그러한 차량을 산다면, 휘발유 가격은 낮아질 것이다.
Then again, ③ so would the cost of the vehicles, thanks to economies of scale.
한편, 규모의 경제 덕분에 차량의 비용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There is a push and pull of cost and relative savings that ④ is difficult for consumers to predict, as it is affected so greatly by their collective actions.
소비자들이 예측하기 어려운 비용과 상대적 절감의 밀고 당김이 있는데, 이는 그것이 그들의 집단행동에 의해 매우 크게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It brings to mind economist John Maynard Keynes' description of stock-market investing: a beauty contest in which the winner is not any of the contestants, but the judge ⑤ who (→ whose) scores come closest to the average scores of the judges collectively.
그것은 경제학자 John Maynard Keynes의 주식시장 투자에 대한 묘사를 상기시키는데, 그는 주식시장 투자를, 출전자 중의 누군가가 승자가 되는 것이 아니라 전체 심사위원들의 평균 점수에 가장 근접하게 점수를 매긴 심사위원이 승자가 되는 미인대회와 같다고 했다.
economies of scale 규모의 경제(생산량의 증가에 따라 평균 비용이 줄어드는 현상)
[5~6]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The metaphor of barking dogs has been used by historians of religions to describe various uses of comparison, but like all good myths, it bears retelling in each new context and can always be used in new ways.
짖는 개에 대한 은유는 여러 종교의 역사가들에 의해 다양한 용도의 비유를 묘사하기 위해 사용되어 왔지만, 모든 훌륭한 신화들처럼. 그것은 각각의 새로운 맥락에서 개작이 가능하고 항상 새로운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Sherlock Holmes once solved a mystery, the case of Silver Blaze, a racehorse, by using a vital clue of (a) omission.
Sherlock Holmes는 언젠가 어떤 미스터리, 즉 경주마 Silver Blaze 의 사건을 부작위(마땅히 해야 할 것으로 기대되는 행위를 하지 않는 것)라는 결정적인 단서를 이용하여 풀었다.
When Inspector Gregory asked Holmes whether he had noted any point to which he would draw the inspector's attention, Holmes replied, "To the curious incident of the dog in the night-time."
Gregory 경위가 무엇이든 경위인 자신의 주의를 끌게 할 점을 알아차렸느냐고 Holmes에게 묻자, Holmes는 "야간에 개가 한 이상한 일에 대해서입니다."라고 대답했다.
"The dog did nothing in the night-time," (b) objected the puzzled inspector, the essential straight man for the Socratic sage.
소크라테스식 현자에게는 본질적으로 순진하고 고지식한 사람인, 어리둥절해진 경위가 "그 개는 그 밤시간에 아무 일도 하지 않았습니다."라며 이의를 제기했다.
"That was the curious incident," remarked Sherlock Holmes.
"그것이 그 이상한 일이었습니다."라고 Sherlock Holmes가 말했다.
The fact that the dog did not bark when someone entered the house at night was evidence, in this case evidence that the criminal was someone familiar to the dog.
밤에 누군가가 집에 들어왔을 때 개가 짖지 않았다는 사실이 증거였는데, 이 경우에는 범인이 개에게 친숙한 사람이었다는 증거였다.
Dogs bark at difference — in this case, someone different from those with whom the dog was familiar.
개들은 '다른 것’에 대해 짖는데, 즉 이 경우, 그 개가 친숙했던 사람들과 다른 누군가라는 것이다.
We cannot hear the sound of one hand clapping; we cannot hear (c) sameness.
우리는 손 하나가 손뼉을 치는 소리를 들을 수 없다. 즉, 우리는 똑같음을 들을 수 없다.
But through the comparative method we can see the blinkers that each culture constructs for its retellings of myths.
그러나 비교 연구법을 통해 우리는 각 문화가 신화를 개작하기 위해 고안하는 옆을 보지 못하게 하는 눈가리개를 볼 수 있다.
Comparison makes it possible for us literally to cross-examine cultures, by using a myth from one culture to (d) reveal to us what is not in a telling from another culture, to find out the things not "dreamt of in your philosophy" (as Hamlet said to Horatio).
비교는 한 문화의 신화를 이용하여 다른 문화의 이야기에는 존재하지 않는 것을 우리에게 밝힘으로써, (Hamletol Horatio에게 말했듯이) '자네의 사고방식에서는 상상되지 않는 것을 찾아내기 위하여 우리가 말 그대로 여러 문화를 대상으로 '반대' 심문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Moreover, we can use comparative work to test theories about our own culture, by noting where our own dogs have not barked.
나아가 우리는 비교 연구를 사용하여 우리 자신의 개들이 어디서 짖지 않았는지를 알아차림으로서 우리 자신의 문화에 대한 이론을 시험할 수 있다.
Comparison (e) justifies (→ defamiliarzies) what we take for granted. We can only see the inflection of a particular telling when we see other variants.
비교는 우리가 당연시하는 것을 정당화한다(→ 낯설게 한다). 우리는 다른 변이형을 볼 때만 특정한 이야기의 굴절을 볼 수 있다.
sage 현자 blinkers 옆을 보지 못하게 하는 눈가리개 inflection 굴절
7. (A), (B), (C)의 각 네모 안에서 어법에 맞는 표현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Most employees want to do a good job, make a difference, and (A) [value / be calued] for their efforts.
대부분의 직원들은 일을 잘해내고,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그들의 노력에 대한 가치를 인정받고 싶어 한다.
Regardless of the situation, the company must take time to determine what employees need.
상황이 어떻든지 회사는 시간을 갖고 직원들이 무엇을 필요로 하는지 알아내야 한다.
Employee performance is often tied more to personal factors like being appreciated for doing a good job than to money.
직원의 업무 수행은 자주 돈보다는 오히려 일을 잘한 것에 대해 인정받는 것과 같은 개인적인 요인과 더 관련이 있다.
(B) [Recognize / Recognizing] accomplishments in a timely manner by a simple, sincere "Thank You" can go a long way in improving performance.
간단하고 진심 어린 "고맙습니다"라는 말로 시기적절하게 성과를 인정하는 것은 업무 수행 향상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다.
The level of motivation in part will be determined by the time lapse between the occurrence and awarding the recognition.
동기 부여의 수준은 어느 정도 (성과의) 발생과 인정해 주는 것 사이의 시간 경과에 따라 결정될 것이다.
The closer the recognition to the occurrence, the greater will be the motivation, creating a positive environment that fosters improved performance.
(성과의) 발생에 대한 인정이 더 빠를수록, 동기 부여는 더 커져서 향상된 수행을 촉진하는 긍정적인 환경이 조성될 것이다.
Really listening to (C) [which / what] employees are saying lets employees feel they are contributing, giving them a sense of worth.
직원들이 말 하는 것을 정말로 경청하는 것은 직원들이 그들이 기여하고 있다는 것을 느끼게 해주며 그들에게 자존감을 부여한다.
⑤ be valued Recognizing what
8. 다음 글에서 전체 흐름과 관계 없는 문장은?
Internationalization is a critical issue in higher education today.
오늘날 고등교육에서 국제화는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Many colleges and universities are transforming their curriculum by integrating international perspectives and providing professional development to faculty and staff so that they can effectively participate in today's increasingly global environment.
많은 단과대학과 종합대학은 오늘날의 점점 더 세계화되는 환경에 효과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국제적인 시각을 통합하고 교직원들에게 전문성 개발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그들의 교육과정을 완전히 바꾸고 있다.
① A major reason for internationalization in higher education is that college graduates are expected to become global citizens to be able to successfully communicate in a diverse workplace.
고등교육에서 국제화에 대한 주된 이유는 대학 졸업자들이 다양한 직장에서 성공적으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세계적인 시민이 될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이다.
② Students who take courses with international content are believed to be better equipped to effectively communicate in global contexts.
국제적인 내용을 다루는 강좌를 수강하는 학생들은 세계적인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의사소통을 할 준비가 더 잘되어 있다고 여겨진다.
③ Cultural differences affect research and academic communication since there are those who categorize cultures into superior and inferior.
문화를 우월한 것과 열등한 것으로 분류하는 사람들이 있기 때문에 문화적 차이는 연구와 학문적 의사소통에 영향을 미친다.
④ Therefore, employers are looking for candidates who not only have appropriate degrees for the job but also foreign language skills and intercultural competence.
그러므로 고용주들은 일자리에 적합한 학위를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외국어 능력과 문화 상호간의 (이해) 능력을 갖춘 지원자들을 찾고 있다.
⑤ Furthermore, many colleges and universities are admitting more and more international students, and this makes it necessary to train fellow students as well as faculty and staff about intercultural awareness and multiculturalism.
게다가, 많은 단과대학과 종합대학이 점점 더 많은 국제 학생들을 받아들이고 있으며, 이것은 문화 상호 간의 인식과 다문화주의에 대해 교직원들뿐만 아니라 동료 학생들을 훈련시키는 것을 필요하게 만든다.
◆ 독해 / 문법 / 영작 관련 질문 있으시면 아래에 '댓글 쓰기'에 글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