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어진 글 다음에 이어질 글의 순서로 가장 적절한 것은?
Brain size is important because it can be used to infer the size of the social communities within which individuals lived.
(A) A study of communities and brain size among living nonhuman primates reveals a strong statistical relationship between brain and social group size: the larger the brains, the bigger the social communities in which individuals live. For example, chimpanzees have a brain size of 367 cms3 and an individual’s personal network typically has 57 other individuals in it. The smaller-brained macaque has a brain of 63 cms3 and 40 network partners.
(B) The reason for these differences is put down to the challenge of remembering and maintaining social relationships, a constraint known as cognitive load. Such a relationship between brain and group size has led to the following hypothesis: that in human evolution, the enlargement of our brains was driven by our social lives.
(C) The selection pressure that explains this process was supplied originally by the advantages of living in larger groups when it came to resisting predators. The social brain hypothesis is about social complexity, the ability to associate with larger numbers of individuals, and to retain information about peoples' history, intentions, and the way they respond when interacting .
[해석]
뇌의 크기는 개체가 생활했던 사회 공동체의 크기를 추측하는 데 활용될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하다.
(A) 인간 이외의 살아 있는 영장류에게 있어서의 공동체와 뇌의 크기에 대한 연구는 뇌의 크기와 사회 집단 크기 사이의 강한 통계적 연관성을 보여 준다. 즉, 뇌가 더 클수록 개체가 생활하는 사회 공동체도 더 크다. 예를 들어, 침팬지는 367세제곱센티미터의 뇌 크기를 가지고 있고 한 개체의 개인적인 (사회적) 관계망은 그 안에 보통 57마리의 다른 개체를 포함한다. 뇌가 더 작은 마카크는 63세제곱센티미터의 뇌를 가지고 있고 40마리의 (사회적) 관계망 동료가 있다.
(B) 이러한 차이가 생기는 이유는 사회관계를 기억하고 유지하는 과제, 즉 인지 부하라고 알려진 제약 때문으로 여겨진다. 뇌의 크기와 집단 크기 사이의 그러한 관계는 다음 제시된 가설을 이끌어 냈는데, 그것은 인간의 진화에서 우리 뇌의 확대가 우리의 사회생활에 의해 촉진되었다는 것이다.
(C) 이 과정을 설명하는 선택압(選擇壓)은 본래 포식자에게 대항하는 면에서 더 큰 집단에서 사는 것의 유리함에 의해 제공되었다. 사회적 뇌 가설은 사회적 복잡성, 즉 더 많은 수의 개체들과 어울리리는 능력과 사람들의 역사, 의도, 그리고 상호 작용할 때 반응하는 방식에 대한 정보를 유지하는 능력에 관한 것이다.
[해설]
뇌의 크기가 개체가 생활하는 집단의 크기와 관계가 있으며, 그러한 관점에서 인간의 진화 과정에서 뇌가 커지는 것도 사회적 관계망의 확장으로 설명할 수 있을 것이라는 내용의 글이다. (B)의 'the reason'은 (A)의 내용에 대한 이유를 뜻하며 (C)의 'this process'는 (B)에 나온 내용을 가리킨다.
[어휘]
infer 추측하다, 추론하다
community 공동체, 군락
individual 개인, 개체
primate 영장류
reveal (비밀 등을) 드러내다[밝히다/폭로하다]
statistical 통계적인
「the +비교 형태 ~, the +비교 형태 ... : ~할수록, 더 ⋯하다」
typically 보통, 일반적으로
macaque 마카크(아프리카·아시아산 원숭이의 하나)
put ~ down to ... : ~을 …의 탓[덕]으로 보다
constraint 제약, 제한
known as ~으로 알려진
cognitive load 인지 부하(학습자가 특정과제를 수행할 때 학습자의 인지체계에 부과되는 부하를 의미하며, 내재적, 외재적, 본유적 인지부하로 분류할 수 있다.인지부하이론의 핵심은 인간의 작동기억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학습자에게 너무 많은 양의 정보를 한꺼번에 제공하면 인지적 과부하를 일으켜 효과적인 학습을 방해하게 된다는 것이다. 인지적 과부하는 과제해결에 요구되는 인지자원의 양이 인지구조가 보유하고 있는 자원의 용량을 초과할 때 발생하는 현상으로서 학습 부진의 주요원인이 되기 때문에 불필요한 인지부하를 초래하는 변인을 밝혀내어 효과적인 교수설계의 전략을 개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lead to ~로 이어지다
hypothesis 가설, 추정
evolution 진화
enlargement 확대, 확장
be driven by ~의해 촉진되다
selection pressure 선택압(選擇壓, 자연 선택에서 어떤 개체가 자연 선택될 때 가해지는 환경 요소)
originally 본래, 처음에는
when it comes to…에 대해서[관해서]라면
resist 대항하다, 반대하다
predator 포식자
complexity 복잡성, 복잡함
associate with ~와 어울리다
retain (계속) 유지[보유]하다
intention 의사, 의도; 목적
◆ 글의 흐름으로 보아, 주어진 문장이 들어가기에 가장 적절한 곳은?
That is, freedom of choice entails responsibility, and using, for instance, tax rules is inevitably a matter of exercising that responsibility.
Morality, very much like the legal system, is a public system, containing norms that govern behaviour which, in turn, affects other persons. ① Unlike law, morality is an informal system: there are no judges authorized to decide moral conflicts, and there exist no formal decision-making procedures that provide unique and definite answers to all moral questions. ② Public morality and ethical responsibilities are partially codified in the law, but the legal system will never be able to codify public morality exhaustively. ③ Moral responsibility begins precisely where actions are not completely determined by the law. ④ Taxpayers can comply with the rules but they can also structure their affairs in a manner that minimizes their tax liability. ⑤ The choices made by these actors may affect, i.e., enhance or undermine, the integrity of the tax system, distributive justice and sustainable societal cooperation.
[해석]
도덕률은 법 제도와 아주 흡사하게 공공 제도여서, 결국 타인에게 영향을 미치는 행동을 지배하는 규범이 들어 있다. 법과 달리, 도덕률은 비공식적인 제도이다. 즉, 도덕적 갈등을 판결할 권한을 부여받은 판사가 없으며 모든 도덕적 질문에 대한 유일하고 확실한 해답을 제공할 공식적인 의사 결정 절차가 존재하지 않는다. 공공 도덕성과 윤리적 책임은 법에 일부 성문화되어 있지만, 결코 법 제도는 공공 도덕성을 속속들이 성문화할 수 없을 것이다. 도덕적 책임은 바로 행동이 법에 의해 완전히 결정되지 않는 상황에서 시작된다. 즉, 선택의 자유는 책임을 수반하며, 예를 들어, 세법을 사용하는 것은 필연적으로 그 책임을 다하는 문제이다. 납세자는 그 세법에 따를 수 있으나 그들은 또한 납세 의무를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그들의 일(세금 신고)을 구조화할 수도 있다. 이런 행위자에 의해 내려진 선택은 조세 제도의 온전함과 분배적 정의와 지속 가능한 사회적 협력에 영향을 줄 수 있는데, 즉 이것들을 향상하거나 쇠퇴시킬 수 있다.
[해설]
이 글의 중심 내용은 도덕률이 법 제도와 다르며 도덕적 책임이 모두 성문화될 수 없으므로 개인 선택의 자유가 개입한다는 것이다. 주어진 문장에 예를 들거나 정보를 더 제공해 줄 때 사용되는 'That is'와 'for instance'를 단서로 추론해 봤을 때, 주어진 문장이 들어가기에 가장 적절한 곳은 ④번이 된다.
[어휘]
morality 도덕률, 도덕성
legal 법률과 관련된
public 대중을 위한, 공공의
norm 규범, 기준
govern 지배하다, 통제하다
in turn 결국, 결과적으로
affect 영향을 미치다
informal 비공식적인, 비형식적인
authorized 권한을 부여받은
moral 도덕과 관련된, 도덕상의
conflict 갈등[충돌]
exist 존재[실재/현존]하다
formal 공식적인, 정식의, 의례를 갖춘
procedure 절차, 과정
definite 확실한, 명확한
ethical 윤리적인, 도덕에 관계된
partially 일부, 부분적으로
codify (법률 등을) 성문화하다, 법전으로 엮다
exhaustively 속속들이, 남김없이
precisely 바로, 정확히
completely 완전히, 전적으로
determine 알아내다, 밝히다, (무엇의 방식·유형을) 결정하다
entail 수반하다
tax 세금
inevitably 필연적으로, 결국
exercise (맡은 일을) 다하다, (기능·직무 등을) 완수하다
comply with 따르다, 준수하다
structure 구조화하다, 조직하다
affair 일[문제]
minimize 최소화하다
liability 의무
i.e. (= id est) (라틴어) 즉 ~이다(that is)
enhance (좋은 점·가치·지위를) 높이다[향상시키다]
undermine ~을 (서서히) 쇠퇴시키다, 기반을 약화 시키다
integrity 온전함, 고결함
distributive 분배적, 분배의
distributive justice(분배적 정의(分配的正義)) 각자에게 자신의 정당한 몫을 누릴 수 있게 하고, 아무도 불만을 제기하지 않는 방식으로 분배 하는 것을 가리킨다.
sustainable 지속 가능한
societal 사회적, 사회의
cooperation 협력
◆ 문제 관련 질문 있으시면 아래에 '댓글 쓰기'에 글 남겨주시면 확인 즉시 설명드리겠습니다.